커뮤니티 사용 안내
🖥 BOK 보고서 2025-8호 요약 브리핑
Monetary-Fiscal Policy Mix and Inflation in Korea (2025.3)
BOK 보고서 2025-8호 요약
✔️ 최근 한국은 팬데믹 대응 과정에서 대규모 재정지출과 완화적 통화정책을 동시에 운용함. 이로 인해 통화·재정 간 정책 조합(mix) 이 인플레이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필요성 증가.
✔️ 전통적으로 통화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재정정책이 확장적일 경우 그 효과가 약화될 수 있음.
특히, 재정이 통화정책을 "제약"하는 상황(Fiscal Dominance)에서는 인플레이션 억제가 더 어려워짐.
✔️ 한국 경제의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상호작용을 분석
정책 조합의 변화가 인플레이션에 미친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
✔️ 실증 분석 및 주요 분석 결과
재정정책이 확장적일 경우, 기준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데 효과가 제한적임
기대인플레이션은 재정지출 증가와 상호작용하며 상승 압력 확대
금리 충격 단독 효과는 일정하지만, 재정 충격과 동반될 경우 물가에 대한 억제력이 약화됨
팬데믹 이후에는 이런 경향이 뚜렷하게 관측됨
✔️ 정책 시사점
재정확장기엔 금리 인상의 인플레 억제 효과 약화
기대인플레이션은 재정지출 증가와 상호작용하며 상승 압력 확대
통화정책 단독 대응 → 인플레이션 조절에 한계
☄️ 결론 요약
재정정책이 확장적일수록, 금리 인상만으로는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기 어려움
통화정책 단독 대응에는 한계가 있으며, 정부 지출의 방향성과 강도가 인플레 기대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
따라서 중앙은행의 신뢰성과 재정의 건전성이 함께 유지되어야만,
시장 기대를 안정시키고 인플레 고착화를 막을 수 있고
이는 단기 대응을 넘어서 정책의 일관성과 조율 능력(policy mix quality) 이 중요해졌음을 의미
한국 경제는 금리만으로 물가를 통제하던 시대에서, 정책 조합 전체를 설계해야 하는 시대로 이동 중
이는 미국의 QT 완화, 중국의 재정 확대 등과 맥을 같이하며,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과 한국의 정책 방향성이 서서히 정렬되는 국면으로 해석할 수 있으므로
⚡️ 요약하자면 , "금리만 보지 마라. 이젠 재정과의 관계를 같이 봐야 시장이 읽힌다."
한국은행(BOK)의 보고서는 단순히 학술용이 아니라, 실제 정책 결정이나 재정 당국(기획재정부 등)에 간접적인 메세지를 전달하며 시장 참여자에게도 꽤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한 번씩 읽어보시는 걸 추천
⚠️ 정책 변화의 예고편이 될 수 있음
텔레그램 채널